1. a piece of cake
줄스는 자신의 엄마를 욕하는 이메일을 엄마에게 보내서 해결 방법을 찾고 싶어 하지만, 서버를 해킹하는 건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직원들의 말을 듣고 절망하고 있는데요. 그런 상황에 벤이 줄스에게 좋은 방법이 있다고 하면서 동료들과 함께 줄스의 엄마 집으로 몰래 들어가서 노트북을 훔쳐온다고 말해요. 그걸 듣고 줄스는 놀라워했지만, 정말 천재적인 생각이라고 말해요. 그래서 결국 동료들과 함께 벤은 줄스의 엄마의 집으로 차를 타고 가게 되는데요. 벤은 침착해 하지만 같이 온 동료들은 들킬 걱정에 불안해하는데요. 그런 동료들에게 벤은 "식은 죽 먹기야"라는 말을 해요.
"Oh, relax, fellas. This is gonna be a piece of cake."
(오, 진정해, 친구들. 이건 식은 죽 먹기야.)
'a piece of cake'는 저희가 쓰는 표현 중에 '식은 죽 먹기'라는 뜻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뜨거운 죽보다는 식은 죽이 당연히 먹기가 쉽잖아요. 그런 것처럼 영어권에서는 케이크를 먹는 게 쉽다고 생각하는 것 같아요. 이 표현의 유래는 예전 19세기 미국 남부 지역에서 케이크를 가운데에 놓고 노예들에게 케이크 주변을 돌면서 춤을 추게 하고, 가장 춤을 잘 춘 팀에게 상품으로 가운데에 놓은 케이크를 상품으로 줬다고 해요. 거기서 상을 받았던 어떤 팀의 수상소감이 "이 케이크를 얻는 만큼 쉬웠어요."라는 말을 했다고 해요. 노동을 대가로 얻는 것보다 춤을 추고 상을 받았다는 게 쉬었다는 얘기 겠죠.
그리고 'cake'대신 '산들바람, 미풍'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breeze'나 손가락을 튕겨서 내는 소리인 'snap'으로 바꿔서 사용해도 상관없다고 하네요.
ex) A: At my age, smartphones are too difficult to use.
(내 나이에 스마트폰을 사용하기에는 너무 어려워)
B: That's right. This is a piece of cake for young people, isn't it?
(맞아, 젊은 사람들은 이런 거 식은 죽 먹기잖아. 그렇지?)
2. behind the wheel
줄스의 엄마의 집에서 노트북에 있는 줄스의 이메일을 삭제하기 위해서 벤은 동료들에게 자신들이 할 역할을 알려주는데요. 루이스와 데이비스는 벤과 함께 집으로 들어가고, 제이슨은 차에 남아서 경찰이 오는지 감시하고, 나중에 운전을 하기로 역할을 정하는데요. 이때 벤이 제이슨에게 "네가 운전해"라는 말을 해요.
"You're behind the wheel."
(너는 운전을 해.)
'behind the wheel'을 직역하면 '운전대 뒤'라는 뜻이 되는데요. 운전석에 앉아있다고 생각하면 운전을 하다 라는 의미가 되겠죠. 저희도 대화할 때 "누가 운전할래?, 운전대 누가 잡아?"라는 말 사용하잖아요. 이 말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제가 한번 언급한 적이 있었는데 자동차 핸들은 원래 영어 표현으로 'steering wheel'이라고 말한 적 있어요. 여기서 이 단어를 줄인 거라고 해요.
영화 인턴 쉐도잉
↓
https://hg605329.tistory.com/91
영화 <인턴>으로 영어 쉐도잉 35일 차
영화 인턴 쉐도잉 35일 차 Jules: Hey, guys. Thanks for coming. 안녕, 여러분. 다들 와줘서 고마워. I know the zoom is broken, and I don't mean to pull anyone off of that, but I need a favor. 줌이 망가..
hg605329.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