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Goes without saying
저희가 얘기할 때 '두말하면 잔소리죠, 말이 필요 없죠, 여부가 있겠어요, 당연하죠 등' 이렇게 표현하고 싶을 때 있잖아요. 이 표현을 영어로 표현하면 "Goes without saying"라고 해요. 이 표현을 직역하면 "말없이 가다"정도로 해석되는데 말할 필요도 없이 당연하다는 의미인 것 같아요. 이 표현과 비슷한 표현으로는 'of course'가 있는데 이것보다 좀 더 의미가 더 잘 전달되는 것 같아요. 주로 지켜야 할 규칙이나 규정 아니면 약속 같은 걸 지킬 때도 사용하고 누군가가 잔소리나 충고를 할 때도 이 표현을 쓸 수 있을 것 같아요.
인턴) Jules : And everything you here in the car is strictly confidential. Okay?
(그리고 차 안에서 들은 모든 건 극비사항이에요. 알겠죠?)
Ben : Goes without saying. (여부가 있겠어요.)
ex) We're not going to leave without saying anything.
(우리는 그렇게 말없이 가진 않을 거예요.)
ex)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moking is bad for your health.
(흡연이 몸에 안 좋다는 건 말할 필요도 없다.)
2. rushing into
"어딜 그렇게 급하게 가니?"라고 물어볼 때 있잖아요. 그럴 때 'rushing'이라는 표현을 쓰는데요. 'rush'는 '서두르다, 급히 움직이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요. 저희가 게임할 때도 'rush'를 누르면 캐릭터가 빨리 움직이고 그러잖아요. 그래서 'rushing into'는 "어디를 급하게 가는 중이다"라고 말하거나 "누군가에게 급하게 어딜 가냐고 물어볼 때" 이 표현을 쓰면 되는데요. 꼭 장소가 아니어도 '어떤 일을 급하게 처리해야 할 때'도 이 표현을 쓸 수 있어요.
인턴에서도 줄스와 줄스의 엄마가 통화를 하는 중에 줄스가 엄마와의 대화를 빨리 끊고 싶어서 급하게 처리해야 할 게 있어서 나중에 통화하자고 말하는 대사에서 이 표현을 써요.
인턴) Mom, you know what? I'm rushing into the city fot a meeting and I need to prepare.
(엄마, 그거 알아요? 내가 지금 회의 때문에 급하게 뉴욕에 가는 중인데 준비를 해야 해요.)
ex) Then let's look around more. I don't want to rush into buying something I don't like.
(그럼 더 둘러보죠. 마음에 들지도 않는데 급하게 사고 싶지는 않아요.)
ex) We won't rush to replace the players. (우리는 성급하게 선수를 교체하지는 않을 거예요.)
영화 인턴 쉐도잉
↓
https://hg605329.tistory.com/67
댓글